본문 바로가기
건강/질병 정보

중성지방의 문제 원인, 증상, 관리 방법

by lse626 2021. 7. 2.
728x90
반응형

이번에는 중성지방에 대해서 포스팅을 해보려고 합니다.

글쓴이도 작년 건강검진을 했을 때 중성지방의 비중이 많이 나왔었다. 관리가 필요하다고 오메가3도 처방받고 아무튼 인증샷을 찍고 싶은데 문서를 버려서 아쉽다.

 

 

중성지방이란?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로 쓰이는 지방으로 실제 체지방의 90%가 중성지방이다. 중성지방은 피하지방이 되어 체온을 유지시키고 내장지방으로 장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기도 하고 자체로는 독성이 없어서 인체에 크게 해롭진 않다. 또한 우리 몸의 여러 곳에 존재하며 에너지 저장고의 역할도 한다. 우리가 먹는 음식물로부터 당질과 지방산을 재료로 간에서 합성되며 칼로리가 부족시 분해돼서 에너지로 사용된다.

 

 

 

증상

 

중성지방이 과다하게 체내에 많으면 문제가 되는데 중성지방(내장지방)이 많아지면 복부비만이 되고 복부비만이 많아지면 콜레스테롤을 변형시켜 대사증후군, 동맥경화증 등의 합병증을 유발한다.

 

1. 복부와 신체에 쌓이면서 체중 증가와 비만을 발생.

2. 혈액속에 지방이 끼어 혈관을 막고 혈액의 압력을 높여 고혈압 발생

3. 당뇨 등의 합병증 발생

4. 이상지질혈증으로 혈액의 농도가 높아짐.

 

 

 

 

*대사증후군 - 합병증 관련하여 고혈압, 비만 등의 신진대사와 관련된 질병이 생기게 된다.

*동맥경화증 - 중성지방은 혈액 속에 녹아 있는 끈적끈적한 기름기인데 이게 굳어져서 혈관을 막아 버리는 현상이 나타난다. 혈관이 막힌 위치에 따라 뇌에 가까우면 중풍이 올 수 있고 심장으로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서 심장마비도 올 수 있는 등 위험성이 높다.

 

 

중성지방 합병증

 

반응형

 

치료 및 관리

 

 

-중성지방의 수치를 낮추는 방법-

 

몸 속에 있는 중성지방을 에너지원으로 환원시켜서 소모하게 만드는 방법이다. 우선적으로 식사를 할 때 탄수화물과 지방을 섭취하게 되는데 우리 몸은 탄수화물을 전부 태워서 사용되기 전엔 지방을 사용하지 않는다. 그래서 탄수화물의 섭취를 제한하면 지방을 태울 수밖에 없게 되므로 탄수화물의 섭취를 줄이는 것도 방법이다. ( 단. 지방 섭취를 줄이는 게 어떻겠냐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지방을 안 먹는다고 해도 몸에서 지방을 만들어 낼 수 있으므로 방법이 될 수 없다.)

 

*저탄고지 다이어트 식단 - 여러 다이어트 식단 중의 하나로 탄수화물은 적게 지방은 많이 섭취한다는 의미로 사용되며, 저탄고지 식단이 인체에 안전하다고 알려져 있긴 하나 부작용도 있다.

 

*저탄고지 부작용*

1. 심각한 근육량 감소(근손실)

2. 식사의 만족감이 감소 (탄수화물을 섭취할 때 만족감이 가장 높다.)

 

 

-관리-

1. 식단 조절

 

중성지방의 관리 방법으로는 식단을 조절하는 것이 우선이다. 중성지방을 늘려주는 동물성 지방이 많은 음식을 조절해서 적당히 먹는 게 필요하다.

 

*닭, 오리 등의 껍질 - 껍질은 잘 튀기면 맛있는 부위인데 실제로는 기름이 엄청 많다.

*달걀노른자 - 하루 1개 ~ 1.5개 정도까지는 좋다고 한다. 달걀 한 개의 노른자에는 약 200mg의 콜레스테롤이 있는데 하루 권장량은 300mg으로 너무 많이 먹는 건 몸에 나쁘다.

*라면, 소고기, 돼지고기, 치킨, 피자 등의 고지방 음식은 적게 먹기.

 

 

2. 운동

 

적어도 주 2회이상 1회에 15분 이상은 운동하는 습관을 들이는 게 좋다. 유산소 운동은 처음에는 근육과 간에 저장된 글리코겐을 포도당으로 분해해서 사용되다가 15분부터 체지방이 타기 시작한다고 한다. 15분 미만이면 스트레칭만 꾸준히 해도 효과가 좋다.

 

 

3. 건강 보조제 활용

 

오메가 3-지방산은 간에서 중성지방을 억제함으로써 중성지방 수치를 낮춰 주고 혈액의 점도를 낮춰 혈액순환개선제의 효과가 있다. 단. 체내에서 자연 생성되지 않아 반드시 먹어서 보충해야 하고 오메가 3 영양제 구입 시 기본적인 형태와 추출법을 살펴봐야 한다. 추출법에 따라 흡수율, 순도, 안전성과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