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만 지나도 고기가 상한 건가 의심이 많이 들죠?
상한 건지 구분을 잘 못해서 상한걸 아이들에게 먹인다면... 생각만 해도 끔찍하네요.
고기가 상한건지 구별 방법과 증상에 대해 같이 알아봐요.
돼지고기 상한 거 구분
1. 냉동된 고기는 먹기 전에 전자레인지로 해동해서 확인한다. 시간은 대략 1분 30초 정도.
*상한 고기일 경우
1. 냄새가 심하게 난다.
2. 상한 고기인 경우 전자레인지에서 해동하면 표면에 점액질이 생긴다.
3. 만져보면 점액질이 묻어나온다.
- 정리 -
1. 냄새가 심하다.
2. 미끌거리는 점액질이 생긴다.
- 한번 해동 후 재냉동을 하면 안되는 이유 -
처음 냉동된 상태에서 해동된 고기는 해동될 때 세균과 미생물이 생성되어지며 증식하게 되는데 세균, 미생물이 있던 상태에서 재냉동한 후 재해동을 하게 되면 세균이 더 활발히 번식하게 되어 더 빠르게 상하게 된다.
그럼 집에서 고기를 구워 먹다가 남으면 어찌해야 하나?
고기 보관 방법
공기 접촉을 최소화해서 먹을 만큼만 나눠서 냉동 보관하여 필요한 만큼만 꺼내 먹는 게 좋다.
세균은 상온에서 2~3시간이면 증식을 한다. 돼지고기의 보관온도는 1~5℃ 이고 보관일은 3일 정도 이다.
고기는 상온에서는 가능한 빠르게 조리해서 섭취해야 식중독을 예방할 수 있다.
야외에서 먹을때는 아이스박스등과 같은 얼음 상자에 보관해서 먹는게 좋다.
한국소비자원의 실험 결과, 차량 트렁크에 가공하지 않은 육류를 보관하면 평균 4시간이 지나면 세균이 증식하는것으로 나타났다고 했다.
상한 고기 먹었을 때 증상
1. 구토나 설사
2. 명치 부근의 통증과 구토
3. 피부에 두드러기, 헛구역질
*명치 부근의 통증과 구토는 체했을 때와 비슷해서 혼동되기 쉽다.
*설사의 경우 지사제를 먹으면 더 위험해진다. 상한 음식으로 인해 몸에 식중독균이 체내에 있는 상태라서 우리 몸은 설사를 통해서 식중독균을 몸 밖으로 배출하기 위해 설사를 하게 되는데 지사제를 통해 배출을 막으면 몸 안에 식중독 균등이 증식하게 된다. 이때는 잦은 설사로 인해 탈수 증상이 올 수 있으므로 따뜻한 물과 이온음료를 많이 마셔주는 게 좋다.
구토의 경우도 같은 상태로 입을 통해 세균을 배출하는 것이므로 참지 않는 게 좋다. 구토를 한 경우라면 입안에 세균이 남아있으므로 양치나 가글을 하는 게 좋다.
'생활 정보 > 알뜰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기 가려움증과 붓기 없애는 최고의 방법! 효과 직빵! (0) | 2021.07.11 |
---|---|
높아지는 환율, 환테크로 수익(용돈) 내자! (0) | 2021.07.05 |
앱테크, 틱톡 (Tik Tok) 일일 미션으로 용돈 벌기 (2) | 2021.06.21 |
날씨 예보 사이트의 정확도 비교 (2021.6.11 일 날씨 예측사이트별 예보상황 비교결과) (0) | 2021.06.13 |
2021년 6월 11일 날씨 예상 , 날씨 예측사이트 비교 (2) | 2021.06.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