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슬람국가 호라산(IS-K) 테러 단체란?
-아프간 관련글-
미군이 철수한 탈레반과 중국과의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
-아프간관련글- 미군 떠난 아프간에서 탈레반의 위협 속에 놓인 하자라족이란 하자라족이란?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 이란 등에 거 거주하며 시아파를 믿는 소수민족. 사용언어는 페르시아
lse626.tistory.com
미군 떠난 아프간에서 탈레반의 위협 속에 놓인 하자라족이란
하자라족이란?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 이란 등에 거 거주하며 시아파를 믿는 소수민족. 사용언어는 페르시아어의 방언인 하자라어를 사용하며 몽골인 후손 (튀르크계)이다. 아프간 민족 구
lse626.tistory.com
호라산(IS-K)은 누구?
호라산(IS-K)는 이슬람국가 아프간 지부이며 '이슬람국가 호라산' 이라 불린다. 현재 아프간에서 활동하고 있는 주요 테러 단체(알 카에다, IS-K, 하카니 네트워크) 중에 하나로 '이슬람국가(IS)'라고 불르던 IS의 아프간 지부로 결성됐다.
이슬람국가(IS)를 이전 명칭인 '이라크시리아이슬람국가(ISIS)'라고 부르고 있고 호라산도 'ISIS-K'라고 줄여서 부르기도 한다. 이들은 지하디스트(이슬람 성전주의자) 조직 중 가장 극단적이고 폭력적인 단체로 꼽힌다.
[이슬람국가(IS)가 이라크시리아이슬람국가(ISIS)라고 부르게 된 이유]
이슬람국가(IS)가 이라크와 시리아에서 가장 맹위를 떨치며 칼리프 제국을 수립했다고 할 정도로 득세했었기 때문이다. 미국과 동맹국들에 의해 해체되긴했지만.
호라산(IS-K)는 2014년 '이슬람국가(IS)'의 최고지도자 아부 바크르 알 바그다디에게 충성을 맹세한 파키스탄 국적의 하피즈 사이드 칸이 조직을 만들었고 아프가니스탄 탈레반과 파키스탄 탈레반(TTP)등 IS-K에 합류했다.
호라산(IS-K)은 2020년 5월 샤하브무하지르가 새로운 지도자로 등극하고 미국과 평화협상을 추진한 탈레반에 불만을 품은 탈레반 대원들을 빼와서 충원하였다.
호라산(IS-K)의 근거지는 아프간 동부의 파키스탄 접경주인 낭가르하르이고, 아프간에서 파키스탄으로 인신매매, 마약 밀매와 연관되어 있다.
호라산(IS-K)의 목표
호라산(IS-K)와 이들의 상부 조직인 이슬람국가(IS)와 마찬가지로 칼리프 체제(이슬람 신정일치 국가) 수립이 목표다.
[칼리프 체제란]
이슬람에서 지도자를 뜻하는 용어로 칼리프와 술탄이 있다. 칼리프는 종교지도자이며 술탄은 정치 지도자이다. 칼리프는 이슬람 창시자 무함마드 사후에 그를 대리하는 인물에게 부여된 칭호이며 술탄은 그 칼리프가 통치하는 지역의 통치자를 의미한다. 한마디로 술탄을 임명하는 이슬람 최고 지도자를 칼리프라고 한다.
이는 오스만제국이 무너지면서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가 2014년 6월 이슬람 수니파 무장조직인 '이슬람국가(IS)'의 최고 지도자 아부 바크르 알바그다디를 칼리프로 추대하며 칼리프 체제를 목표로하며 다시 사용되기 시작했다.
탈레반과의 관계
탈레반이 미국과 평화협상을 추진하고 미국 등 서구와 대화를 시도하는 모습을 보고 탈레반의 이슬람 통치가 충분하지 않다고 비판하며 배교자로 비난했다.
호라산(IS-K)은 미국과 같이 탈레반도 공격대상이다. 하지만 탈레반의 한 분파인 하카니 네트워크와 연계돼 있기 때문에 탈레반에서도 호라산에서도 심하게 적대하는 관계가 되기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