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린이를 위한 현재 종목을 예시로, 쉬운 주식 용어 공부 2
이 글은 주린이인 분들을 위한 이해하기 쉽게 오늘 기준의 종목을 예시로 알려드리는 정보입니다.
가볍게 쓰~윽 보시면서 이해하시면서 참고만 하시면 되고 특정 종목을 소개한다는 등의 오해는 없으시길 바랍니다.
9. 배당
배당은 기업이 이익의 일정 부분을 주식을 가지고 있는 주주에게 투자의 대가로 일정 비율의 금액을 돌려주는 것을 말한다. 배당은 의무가 아니며 기업의 주주 총회에서 결정한 비율에 따라 배당 금액이 정해지며 배당 금액도 늘어날 수도 있고 줄어들 수도 있으며 배당을 중지할 수도 있다.
*예) 배당을 주는 기업은 삼성전자, 오뚜기 등의 우량주이며 보통 연말(12월)에 배당 기준일에 소유하고 있는 주주에게 지급, 삼성전자는 분기 배당을 시행하고있다.
*글쓴이도 삼성전자 주식을 보유하고 있으며 (적극적인 투자 성향으로 삼성전자 주식 비율을 많이 줄인 상태) 2021년 4월에 주당 천원이 넘는 금액을 받았다.
분기 배당 - 1분기 3월 31, 2분기 6월 30일, 3분기 9월 30일, 4분기 12월 30일에 소유하고 있어야 배당금을 받을 수 있다.(종목으로는 동양고속, 두산, 씨엠에스에듀, 천일고속, POSCO, 삼성전자, 코웨이 등)
일반 배당 - 매년 12월 30일, 이때 소유하고 있어야 배당금을 받을 수 있다.
반기 배당 - 반년마다 지급, 6월, 12월이며 (종목으로는 태경산업, 하나금융지주, 현대자동차, 대교, sk 이노베이션 등)
참고로 12월 31까지 소유하고 있어야 하는데 12월 31일부터 다음 해 1일 등은 주식장이 안 열린다. 그래서 배당 기준일이 12월 30일이다.
너투브에서 찾아보면 삼성전자를 기준으로 15억을 가지고 있다고 했을 때 월 300만 원 정도의 배당 수익이 난다는 걸 쉽게 알 수 있다.
회사를 안 다녀도 월급 정도 나오므로 좋을 거 같지만 그 정도 재산이 있으면 삼성전자는 조금만 넣고 다른 데에 투자를 해서 불릴듯하다.
배당 관련 정보를 보는 URL은 배당순위 | SEIBro 여기를 참고하시면 될듯하다.
SEIBro
seibro.or.kr
10. 배당락
배당락은 위에 9번에서 12월 31일까지 소유하기만 하면 받을 수 있는 거라 본인이 12월 29일에 매수를 해도 또는 5월부터 매수를 하고 계속 보유하고 있다고 해도 12월 31에 확인이 되면 똑같이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거라 12월 중순부터 배당금을 많이 주는 종목에 투자가 몰리는 현상이 일어난다. 그 후 배당기준일이 지난 다음 해 1월 초에 매도하는 경향이 많아서 매도 물량이 많아지므로 실제 호가가 내려가는 현상을 말한다.
11. 액면가
액면가란 기업이 주식을 처음 발행 시 1주당 가격을 정한 금액을 말한다.
주식에서 채택된 액면가는 100원, 200원, 500원, 1000원, 2500원, 5000원이고 일반 표준 액면가는 5000원이다.
참고로 5000원 액면가도 주주총회를 통해 주식수를 늘리기 위해 1주 당 가액을 5000원에서 1000원으로 분할할 수도 있다. 분할하면 보유 주식수가 늘어나는데 예로 5000원 주식 수 보다 1000원의 주식 수가 더 많아져서 거래량이 늘어날 수 있어서 좋은 이유가 될 수도 있다.
*당연히 100원짜리 액면가 주식은 하루 거래량이 1000원 보단 많을 수밖에 없다.
예) 오늘의 오뚜기 시세는 542,000원이지만 실제 액면가는 5000원이다. 그만큼 높은 가치를 갖는 주식이다.
*액면가가 중요한 이유는 주식회사의 자본금과 같아서이다.
자본금 = 액면가 X 발행주식수
12. 배당률
배당률은 1주당 액면가에 대해서 지급되는 비율을 말한다.
예) 액면가가 5000원일 때 배당률이 4%라면
5000 X 0.04 = 200원이다
13. 시가총액
시가총액 = 현재 주가 X 총 발행 주식 수 를 말하며
현재 삼성전자가 코스피 1위(코스피 전체에서 25~30% 차지함)이며, SK하이닉스가 2위이다.
*처음 주식을 할 땐 삼성전자에 올인했었다. 하지만 2개월쯤 지났을 때 보니 박스권 안에서 계속 횡보하는 상황을 보고 워낙에 코스피에서 덩치가 크다 보니 100원 오르는 게 쉽지 않아 보였다. 그래서 바로 비중을 줄이고 다른 종목에 투자하며 수익을 발생시켰다.
주린이분들은 안전하게 넣어 보며 흐름을 읽는 걸 추천함 (삼성이 망하면 한국인 망한다는 마음으로 일단 지금은 확실히 안전함, 망하진 않는 다는뜻)
14. 뇌동매매
뇌동매매는 나의 계획에 없는, 갑자기 사람들이 몰려 호가가 들락날락 할 때 나도 분위기에 휩쓸려 사는 경우나 파는 경우를 말한다.
*글쓴이도 처음 주식 시작할 때엔 갑자기 오르기 시작한 종목을 보면 왠지 지금 사도 이득을 볼 것 같은 느낌 아닌 기분이 들어서 중간중간 생각 없이 매수, 매도를 한 적이 있는데 결과는 좋았던 기억보다 안 좋았던 기억이 더 있다. 지금은 새벽에 일찍 일어나는 습관으로 바뀌었고 아침 개장 전 오늘의 매매 내용을 미리 정리를 하고 타이밍이 오면 계획대로 진행하는 마인드로 바뀌었다. 남들이 다한다고 따라 하다 큰코다치므로 미리미리 준비하는 주린이가 되길 바란다.
15. VI
VI는 상 VI, 하 VI 가 있으며 변동성 완화장치(VI)라고 한다. 종목의 주가가 급등 또는 급락할 때 2분 동안 단일가 매매로만 매매를 할 수 있다. 과열된 분위기를 완화시키기 위해.
*이때 2분 동안 호가창은 변동되지 않고 현재 vi 가격에 멈춘 상태로 매매되며, VI 발동 시 전체 주식장에 VI 리스트에 올라가서 단타꾼들이나 VI 발동을 몰랐던 사람들도 찾아오게 된다.
16. 체결강도
체결강도란 매수체결량이 매도체결량에 대해 얼마나 큰지를 보이는 수치이다. 100을 기준으로 100보다 큰 수이면(빨간색으로 텍스트가 변경) 현재 매수가 더 많다는 의미이고 100보다 작은 수이면 (파란색) 매도가 더 많다는 의미이다
체결강도 = 매수체결량 / 매도체결량 x 100
*100보다 클 때
- 매수가 강함, 주가가 상승할 수 있다.
100보다 작을 때
- 매도가 강함, 주가가 하락할 수 있다.